elevne's Study Note
Linux 시작 (1) 본문
Linux를 사용하게 된다면 CLI(Command Line Interface)에 익숙해져야 한다. 평소 그래픽 환경 운영체제(GUI)에 익숙하여 처음에 사용하기 불편할 수 있지만, CLI는 시스템 자원을 덜 소모하고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서비스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관리해야하는 서버 컴퓨터에서는 GUI보다 CLI가 선호된다고 한다.
Shell
Shell은 CLI 환경에서 사용자가 가장 먼저 만나게되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OS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Linux 배포판이 다양한 Shell을 제공하는데, 현재 내가 사용하는 Ubuntu 22.04에서는 BASH가 기본 로그이다.
일례로, echo는 BASH에서 제공하는 문자열 출력 명령어이다. echo HiHello 라고 입력해주면 HiHello라는 결과가 나오게 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명령어들이 있는데 이를 몇 가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printenv
printenv
위 명령어로 셸 환경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다. 로그인한 Shell, Pwd, Logname, Home, Lang, Path 등 다양한 정보를 보여준다.
[변수명]=[값]의 형태로 셸에서 사용할 변수를 정의해줄 수 있다. 여기서 변수이름, 등호, 값 사이에는 공백이 없어야 한다.
위 사진처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를 환경변수에 등록을 해줄 수도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export이다.
이처럼 환경변수에 등록할 수 있고, 이를 삭제해줄 때에는 unset 명령어를 사용한다.
unset a
whoami
whoami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을 보여준다.
sudo
리눅스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한 다중 사용자 OS이다. 사용자는 권한에 따라서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접근, 사용 여부가 결정된다. 시스템을 제어하는 명령을 실행하려면 특별한 권한이 필요한데, 이를 루트 권한이라고 한다. 또, 이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를 Root User, Super User이라고 한다. sudo를 명령어 앞에 붙여주고 실행하면 Root 권한을 획득하여 실행할 수 있다.
/etc/passwd
vi ./etc/passwd
/etc/passwd 파일에서는 사용자 계정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위 명령어는 vi 편집기로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이 대신에 화면에 파일 내용을 표시해주는 cat 명령어를 사용해줄 수도 있다.
또, useradd [옵션] [사용자계정] 그리고 userdel [옵션] [사용자계정]으로 사용자계정을 추가 및 삭제를 진행해줄 수 있다.
ls / ll
ls
ll
해다 디렉토리의 파일들 목록을 보여준다.
ls -l : 파일에 대한 좀 더 많은 정보를 보여준다.
ls -a: 숨어있던 파일들도 보여준다.
(위 둘을 섞어서 ls -al로 사용할 수도 있다.)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h 쉘 스크립트 개발 시작하기 (2: 관리명령어(1)) (0) | 2023.04.22 |
---|---|
Bash 쉘 스크립트 개발 시작하기 (1) (0) | 2023.04.20 |
Elasitcsearch, Logstash 및 Elasticsearch Java Spring API Linux 서버에 배포하기 (0) | 2022.11.02 |